• 2023. 10. 2.

    by. stateonlyu

    영화의 이해 중간고사 대비 _ 소비에트 영화사와 몽따쥬 이론의 발전: 영화사에 미친 의미와 영향

    소피에트영화사와 몽따쥬 이론

    영화로서의 이데올로기

    이러한 이론과 실천은 소비에트 연출가들이 개발한 몽따쥬 기법을 통해 구체화되었습니다. 그들은 영화를 단지 픽션 또는 사실의 재현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영화를 현실을 변형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창조적인 매체로 보았습니다.

    몽따쥬론과 후속 작품

    소비에트 몽따쥬론은 20세기 전반의 국제적인 실험영화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에이젠슈타인의 "10월"과 같은 작품들은 복잡한 몽따쥬 기법을 사용하여 이데올로기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세계 각국의 예술가와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습니다.

    몽따주론과 현대 미디어

    현재도 몽따주론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고, 음악 비디오, 웹 디자인 등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기법들이 모두 몽따주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결론: 소비에트 영화와 몽따주 이론의 유효성

    소비에트 연출가들이 개발하고 활용한 몽따주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그 가치와 유효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지 과거의 예술행위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문화산업에서 계속해서 적용되는 핵심 원리입니다.

    소비에트 영화사는 20세기 초기 러시아 사회-정치 상황에서 주요 경제적 및 정치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예술행위 방식으로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몽따주 이론이 탄생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영화학과 미디어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우리는 예술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그것이 어떻게 사회와 문화에 의해 형성되며, 반대로 어떻게 사회와 문화를 변형시키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예술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1. 소비에트 영화 몽따쥬 이론이 영화사에 주는 의의를 작성하라
    2. 소비에트 영화사에서 몽따쥬의 역할

    무성영화의 황금기였던 1920년대에 영화의 특수성을 결정하는 핵심 개념은 몽따쥬 기법이었다. 소비에트 몽따쥬는 구 소련의 주요 영화감독들에 의해 창안되고 체계화되었다. 주요 감독으로는 베르토프(Дзига Вертов), 쿨레쇼프(Лев Кулешов), 푸도프킨(Все́волод Пудо́вкин), 에이젠슈타인(Сергей Эйзенштейн)이 있다. 소비에트 초기 영화는 지역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서로 다른 광대한 영토를 통합하고 여기에 사회주의 건설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강력한 선전의 수단으로 나타난다. 대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소비에트 영화 산업의 재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귀결되어야 했다. 이러한 독특한 양식은 혁명 이후 러시아가 정치적, 경제적 과정에서 필요한 인간 의식의 문화적-심리적 혁명의 효과에 대한 상호 관계의 고찰로 이어진다.

    1. 몽따쥬의 정의

    몽따쥬(montage)는 원래 프랑스어의 “조립한다(monter).”에서 나온 말로 본래는 건축용어이다. 몽따쥬는  따로 촬영한 필름 단편을 그 목적에 따라 연결하여 한 편의 작품으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에트 영화를 시작으로 몽따쥬는 영화 창작 상의 기본요소가 되어 단순히 편집이라는 기술적 조작을 지칭할 뿐만 아니라 몽따쥬론으로서 무성영화의 대표적 이론이 되었다.

    1. 몽따쥬 기법의 태동

    쿨레쇼프는 몽따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체계화 한 인물이다. 촬영된 각각의 영상은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니다. 그 소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하나의 쇼트로 이 필름들을 몽따쥬 기법을 통해 작가의 의도에 따라 나열 됐을 때 의미가 부여된다. 푸도프킨은 몽따쥬를 기초로 한 각본과 연출이 이루어져야 영화의 예술적 표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1. 소비에트 영화의 역사적 배경

    10월 혁명 이후 1920년대 소비에트 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것은 정권의 당위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그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소비에트 정부에 있어 영화는 매우 중요한 매체였다. 특히 에이젠슈타인의 <파업Strike>(1925), <10월October>(1928) <전함 포템킨Battleship Potemkin>(1926) 푸도프킨의 <어머니Mother>(1926) 베르토프의 일련의 영화들에서 이러한 경향을 찾아볼 수 있다.

    1. 소비에트 혁명으로  영화의 이미
    • *레닌(**Влади́мир Ле́нин)은 "영화는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영화가 과도기적 상황에서 짧은 시간에 민중을 계몽하고 혁명의 정당성을 고취시킬  있는 가장 중요한 예술 도구 하나가 영화라는 의미이다. 볼세비키 혁명 후 내전 상태에 돌입한 소련은 볼세비즘과 혁명의 정당성을 고취하고 민중들을 각성시켜야 한다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것에 가장 부합하는 양식을 영화라고 보았다.
    1. 영화사에서 편집 기법의 발전과 몽따쥬 이론

    멜리어스(Georgie Melies)도 연극 무대처럼 한 공간에서 인물들이 이야기를 진행하는 영상을 연결하여 영화를 만들려고 했다. 그 후 점차 편집의 중요성은 미국의 그리피스(David Wark Griffith)에 의해 강조되었다. 그의 영화에서 편집의 기법인 페이드 인-아웃, 디졸브 등과 같은 기법과 연속 편집, 고전적 편집 등 편집의 기본 원리를 완성했다. 이는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감독들에 의해 정점을 찍게 되는데 몽따쥬 이론으로 체계화되어 현대 영화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발전하게 된다.

    1.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 Дзига Вертов의 이해

    베르토프는 카메라의 렌즈를 비유적으로 명명한 ‘영화-눈(Kino-Eye)’ 그룹을 창설하여 인간의 눈이 가진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영화-눈’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영화 <카메라를 든 사나이 Man with a Movie Camera>(1929)는 이 탐구의 결정체이다. 이 영화는 세상은 눈으로 보여지는 그대로가 아니라 ‘카메라의 눈’에 의해 더욱 새롭게 완벽하게 보여질 수 있다는 ‘키노 프라우다’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1. 레프 쿨레쇼프 Lev Kuleshov; Лев Владимирович Кулешов의 이해

    쿨레쇼프는 베르토프와 더불어 소비에트 몽따쥬 이론의 중요한 개척자 중 한 명이다. 편집 효과에 대해 당시 유명한 배우였던 이반 모주스킨(Ivan Mosjoukine)을 대상으로 한 그의 실험은 소비에트 몽따쥬 이론들의 토대가 되었다. 혁명 이후 국립영화학교에서 푸도프킨과 실험을 진행하였고, 자신의 학생들과 함께 다큐멘터리 촬영수법과 극영화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기능공 프라이트의 계획>(1917), <붉은 전선에서>(1920) 등을 제작했다.

    1. 혹시나 쿨레쇼프 추가

    미학과 기계적인 것이 그의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쿨레쇼프는 ‘미국식 몽따쥬’ 특히 그리피스의 영화 스타일에 매료되었다. 그리피스 영화의 특징으로는 빠른편집, 빈도 높은 클로즈업, 교차 편집이 있다. 그리피스의 영향을 받은 쿨레 쇼프는 자연스러운 ‘미국식 몽따쥬’를 지지하며, 대중이 이해 하기 힘든 섬세한 예술적 표현 (충돌, 예술미학) 같은 높은 지적 행위를 수반하는 표현은 영화에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했다.

    • 일단 대기- 11. 쿨레쇼프 효과 일단 대기

    쿨레쇼프가 주창한 쇼트 편집의 효과로, 쇼트와 쇼트를 병치시키는 편집에 의해 색다른 의미와 정서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한 이론이다. 쿨레쇼프는 모주스킨의 무표정한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찍어, 각각 아이의 관, 식탁에 놓인 음식, 소녀의 장면과 함께 붙여놓고 관객들에게 보여주어 각 장면에 따른 의미의 변화를 살폈다. 문맥에 의한 쇼트와 쇼트를 병치시키는 편집에 의해 색다른 의미와 정서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 프세볼로드 푸도프킨 Vsevolod Pudovkin; Все́волод Илларио́нович Пудо́вкин의 이해]

    푸도프킨은 쿨레쇼프의 수제자였다. 그는 쿨레쇼프의 여러 실험에 참여하며 새로운 영화적 시공간을 창출하는 편집에 매료되었다. 쇼트들의 순서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푸도프킨은 편집에서 쇼트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대표작으로는 <뇌의 역학 Mechanics of the Brain>(1926), <어머니Mother>(1926), <아시아의 돌풍Storm over Asia>(1928) 등이 있다.

    1. 혹시나 [푸도프킨]

    푸도프킨은 편집이란 결합을 통하여 서술적 의미의 점진적 축적을 위해 쇼트들을 연결시키는 것이라 생각했다.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원리. 예술은 현실의 혼돈된 경험을 그대로 복사하는 게 아니라, 선택과 배열의 과정을 통해 현실보다 선명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푸도프킨은 쿨레쇼프를 참고하여 결합 몽따쥬라는 이론을 만들어냈고, 서사적인 몽따쥬와 배우의 연기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 일단 대기- 이와 반대로
    1.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Sergei M. Eisenstein;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Эйзенштейн]

    에이젠슈타인은 한자의 구성 원리에서 서로 전혀 다른 두 개의 상징이 결합하여 영화의 쇼트들처럼 제3의 다른 의미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몽따쥬의 원리를 요소들 간의 충돌과 갈등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편집이란 결합을 통하여 서술적 의미의 점진적 축적을 위해 쇼트들을 연결하는 것이라 이해했다. 이는 헤겔의 변증법의 정반합과 유사하다고 느꼈다.

    1. 에이젠슈타인의 작품과 대표작 <전함 포템킨>

    요즘 영화에서는 보편화되어버린 ‘몽따쥬’라는 편집 기법을 바로 아이젠쉬타인 감독이 “전함 포템킨”이라는 영화에서 첫 선을 보였고 완성을 시켰다. 대립되는 두 집단은 영화 내내 화면 안에서 갈등과 충돌을 보여준다. 중복 편집과 생략편집을 사용했다. 오데사의 계단 시퀀스에서는 <전함 포템킨>에서 가장 극적이고 리듬감 있는 편집을 보여준다. 이 장면에서 보여진 몽따쥬 기법은 운율 몽따쥬, 리듬 몽따쥬, 음조 몽따쥬, 배음 몽따쥬, 지적 몽따쥬가 있다.

    https://m.blog.naver.com/pjhwoo831/130170903528

    1. 미국식 몽따쥬와 소비에트 몽따쥬

    미국식 몽따쥬는 ‘평행 편집’으로 특정 짓는다. 두개의 이야기를 기계적으료 ‘교차 편집’ 함으로 ‘외적 통일성’을 성취한다.

    소비에트 몽따쥬는 ‘내적 모순’의 상호 작용 속에서 ‘내적일치’를 이루는 것으로 특징한다.

    갈등속에서 새로운 ‘통합’으로 새로운 감성을 불러 오게 된다.

    1. 소비에트 영화가 후기 영화사에 미치는 영향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는 권력과 문화, 인간과 기계, 기술과 문명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의 단초를 제공했다. 당시 소련 영화는 기존의 몽따쥬-집단주인공-이데올로기 영화로 새로운 연출적 경향을 드러내었다. 에이젠슈타인은 시각적 이미지의 충돌을 중요시한 견인 몽따쥬를 주창하였고, 영화에 한정된 푸도프킨과 달리 영화 미학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철학의 관점으로까지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렇게 에이젠슈타인은 조금 더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영화들을 만들어냈다. 이는 결국 국가를 위한 영화였지만 편집 기술의 세계 영화로 발돋움하는데 큰 기회였다. 몽따쥬를 통한 의의는 현대 일상에서도 발견 가능하다. 현대사회에서 영화뿐 아니라 TV제작, 문학, 미술, 연극 공연 그리고 게임제작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